[MAC Settings] 기타 설치 1. tree보기 터미널에서 ls를 실행하는 것과 다르게 tree형태로 보고싶을 때 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 brew install tree # 사용 tree brew를 통해 설치를 진행한 후에 볼 수 있다. tree vs ls tree 제외하고 보기 (ex. node_modules) tree -I node_modules 2022. 11. 5. [MAC Settings] MacOS 화면 분할 | Split View 화면 분할(Split View) 평생 윈도우 환경만 쓰다가 macOS를 하면서 불편했던 것 중 하나가 바로 화면 분할 기능이었다. Split View에서 2개의 Mac 앱을 나란히 사용하기 Split View를 사용하면 창을 수동으로 이동하거나 크기를 조정할 필요 없이 Mac 화면을 두 개의 앱으로 채울 수 있습니다. support.apple.com 공식 애플홈페이지에서도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공식 홈페이지에서 설명하듯이 macOS Catalina 및 이후 버전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화면 분할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업데이트되었는데, 상단바의 초록색 버튼 위에 포인터를 올려놓거나 길게 누르게 되면 다음과 같이 화면 왼/오른쪽에 윈도우 배치를 할 수 있는 메뉴가 나오게 된다. 그러면 다음과 같이 윈도우.. 2022. 3. 18. [MAC Settings] 카카오톡 설치 | KAKAO TALK PC버전 CASK, MAS 카카오톡을 설치하는 것을 글로 남기는 이유는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하는 방법 대신 미리 설치했던 Homebrew를 통해서 카카오톡을 설치해보는 과정을 적기 위해서이다. 참고 2022.03.16 - [ETC/MacBook] - [MAC Settings] Homebrew 설치 카카오톡을 설치하기에 앞서서 Homebrew를 통해 SW 패키지를 쉽고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을 텐데, 그 기능 중 cask, mas 기능을 사용하게 되면 다른 프로그램들도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각각의 기능을 쉽게 정리해보자면 cask는 웹사이트에서 받을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설치가 가능하고 (ex. Chrome) mas는 앱스토어에서 받을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설치가 가능하.. 2022. 3. 17. [MAC Settings] Homebrew 설치 더보기 # 이력 `22.08.20. brew 명령어 추가 (tab, --cask) Homebrew (홈브류) 내가 macOS를 처음 사용하게 된 계기는 인턴을 하게 되면서 회사에서 제공받은 맥북을 통해 과제를 진행해야 했기 때문이었다. 그 과정에서 한/영(caps lock) 키랑 command(⌘) 키가 너무 헷갈렸고 맥북을 오랜만에 사용하는 지금도 적응을 아직 못해서 타자가 너무 느리다... 한/영키를 제외하고도 가장 불편했던 기능 중 하나는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것이었다. 처음 맥북을 사용할 때는 homebrew의 존재를 모르고 윈도우를 사용할 때와 동일하게 설치를 진행했는데 맥에서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중 하나는 Homebrew를 사용하여 설치하는 방식이다. Homebre.. 2022. 3. 16. 이전 1 다음 반응형